빌헬름 4세 폰 바이에른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4세는 1508년부터 1550년까지 바이에른 공작이었다. 그는 아버지 알브레히트 4세의 뒤를 이어 공작이 되었으며, 동생 루트비히 10세와 공동 섭정을 하기도 했다. 그는 종교 개혁 초기에는 호의적이었으나, 이후 반종교 개혁의 정치적 지도자가 되어 마르틴 루터의 저술 출판을 금지하고 독일 농민 전쟁 진압에 기여했다.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갈등을 겪었으나 린츠에서 화해를 맺었으며, 예술 후원과 맥주 순수령 제정 등 문화 활동에도 힘썼다. 뮌헨 레지덴츠 건설을 시작했으며, 1516년 맥주 순수령을 제정했다. 1522년 바덴의 마리아 야코베아와 결혼하여 알브레히트 5세를 포함한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1550년 뮌헨에서 사망했으며, 아들 알브레히트 5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0년 사망 - 이해 (정민공)
이해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권신 탄핵으로 유배되어 병사한 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정민의 시호를 받았다. - 1550년 사망 - 아시카가 요시하루
아시카가 요시하루는 정치적 격변기에 권력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여러 차례 교토에서 쫓겨나는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보낸 무로마치 막부의 제12대 쇼군이다. - 바이에른 공작 -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
샤를마뉴의 아들이자 카롤링거 왕조의 황제인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는 '경건왕'이라는 별칭을 가졌으나, 정치적 무능과 상속 분쟁으로 인해 제국 분열을 초래했다. - 바이에른 공작 -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4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서임권 투쟁으로 교황과 대립하고 아들에게 폐위되어 사망했다. - 1493년 출생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 1493년 출생 -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는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아들로, 스위스 용병의 도움으로 밀라노 공작이 되었으나 마리냐노 전투에서 패배 후 프랑수아 1세에게 밀라노를 양도하고 파리에서 사망했다.
빌헬름 4세 폰 바이에른 공작 | |
---|---|
기본 정보 | |
![]() | |
통치 기간 | 1508년 3월 18일 – 1550년 3월 7일 |
전임 | 알브레히트 4세 |
후임 | 알브레히트 5세 |
섭정 | 루트비히 10세 (1516–1545) |
공동 통치자 | 섭정 |
배우자 | 야코베아 폰 바덴 |
자녀 | 알브레히트 5세 메히틸트 폰 바이에른 |
가문 | 비텔스바흐 가문 |
아버지 | 알브레히트 4세 |
어머니 | 쿠니군데 폰 외스터라이히 |
출생일 | 1493년 11월 13일 |
출생지 | 뮌헨 |
사망일 | 1550년 3월 7일 |
사망지 | 뮌헨 |
매장지 | 뮌헨 프라우엔 교회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이름 | |
독일어 이름 | Wilhelm IV |
![]() |
2. 정치 활동
빌헬름 4세는 아버지 알브레히트 4세의 장자 상속 결정에 따라 1508년 바이에른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동생 루트비히 10세가 칙령이 유효해지기 전에 태어났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성직자의 길을 거부하고, 어머니와 제후 대표자 회의의 지원을 받아 공동 통치를 요구했다. 1516년 빌헬름 4세는 루트비히 10세에게 란츠후트와 슈트라우빙 지역의 공동 통치권을 양보했다.[1]
1545년 루트비히 10세가 사망하면서 빌헬름 4세는 다시 바이에른을 단독으로 통치하게 되었다. 빌헬름 4세의 35년 통치 기간 동안 강력한 재상 레온하르트 폰 에크가 그를 보좌했다.
2. 1. 종교 개혁과의 관계
빌헬름 4세는 처음에는 종교 개혁에 공감했지만, 바이에른에서 종교 개혁의 영향력이 커지자 입장을 바꾸었다. 1522년 바이에른 최초의 종교 칙령을 발표하여 마르틴 루터의 저술 출판을 금지했다.[1] 1524년 교황 클레멘스 7세와 합의한 후 독일 반종교 개혁의 정치적 지도자가 되었으나, 동생 루트비히 10세가 보헤미아 왕위를 주장했기 때문에 합스부르크 가문에 반대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1525년 잘츠부르크 대주교와 동맹을 맺고 남부 독일의 독일 농민 전쟁도 진압했다.[1]2. 2.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갈등과 협력
빌헬름 4세는 동생 루트비히 10세가 보헤미아 왕위를 주장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과 대립하였다. 1525년 잘츠부르크 대주교와 동맹을 맺고 남부 독일의 독일 농민 전쟁을 진압하는 데 협력했다. 1534년 페르디난트 1세와 린츠에서 합의에 도달하며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갈등을 해소했다.[1] 1546년 슈말칼덴 전쟁에서 카를 5세를 지원했으나, 팔츠의 선제후 지위는 얻지 못했다.3. 문화 활동
빌헬름 4세는 예술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후원하여 바이에른의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516년 맥주 순수령을 제정하고, 1523년 루트비히 젠플을 임명하여 바이에른 국립 오케스트라가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요한 에크의 에크성경(Eckbibel)은 1537년에 출판된 성경 번역본으로, 신학적으로 루터에 대항하는 가톨릭 수정 성경이며 상부 독일어로 쓰여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하다.[1]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의 ''이수스 전투''를 포함한 다양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의뢰했으며, 이 작품들은 현재 뮌헨의 알테 피나코테크에 소장되어 있다.[1] ''노이페스테''를 확장하고 최초의 궁정 정원을 조성하여 뮌헨 레지덴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3. 1. 맥주 순수령 제정
1516년 4월 23일, 잉골슈타트에서 귀족과 기사로 구성된 위원회 앞에서 빌헬름 4세는 바이에른 맥주 양조에 대한 유명한 순수령을 발표했다. 이 순수령은 맥주를 만들 때 보리, 홉, 물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여 맥주 품질을 향상시켰다.[1] 이 규정은 유럽 연합의 범유럽 규정에 의해 1986년 강제 의무 조항이 폐지될 때까지 효력을 유지했으며, 현재도 독일에서 존속되고 있다.[1]3. 2. 예술 후원
1523년 루트비히 젠플을 궁정 음악가로 임명하여 바이에른 국립 오케스트라의 발전에 기여했다.[1] 요한 에크의 성경 번역본인 에크성경(Eckbibel)을 지원했다. 에크성경은 1537년에 출판되었으며, 신학적으로 루터에 대항하는 가톨릭 수정 성경으로, 상부 독일어로 쓰여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하다.[1]빌헬름은 중요한 예술품 수집가이자 의뢰인이었다. 그는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의 ''이수스 전투''를 포함한 다양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의뢰했다. 그의 컬렉션은 현재 뮌헨의 알테 피나코테크에 소장되어 있다.[1]
3. 3. 건축
뮌헨 레지덴츠의 역사는 빌헬름 4세가 ''룬트슈투벤바우''로 ''노이페스테''를 확장하고 최초의 궁정 정원을 조성하라는 명령을 내리면서 시작되었다. 정원 파빌리온에는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의 그림이 포함된 역사적 순환이 있었다. 1546년, 빌헬름 4세는 아들 알브레히트 5세와 함께 고딕 양식의 폐허를 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4개 날개 궁전으로 개조하고 궁정 정원을 조성하도록 명령했다. 이 궁전은 이후 바이에른 통치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거주지가 되었다.4. 가족
1522년 빌헬름은 바덴 변경백 필리프 1세와 그의 배우자 팔츠의 공주 엘리자베트의 딸인 마리아 야코베아 폰 바덴과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4. 1. 자녀
1522년 빌헬름은 바덴의 야코바 (1507–1580)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바덴 변경백 필리프 1세와 그의 배우자 팔츠의 공주 엘리자베트의 딸이었다. 그들은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테오도르 | 1526년 2월 10일 | 1534년 7월 8일 | |
알브레히트 5세 | 1528년 2월 29일 | 1579년 10월 24일 | 바이에른 공작 |
빌헬름 | 1529년 2월 17일 | 1530년 10월 22일 | |
메히틸트 | 1532년 7월 12일 | 1565년 11월 2일 | 1557년 바덴의 필리베르트 (1536–1569)와 결혼 |
5. 조상
16대조 | 8대조 | 4대조 | 증조부 | 조부 | 부 | ||
---|---|---|---|---|---|---|---|
1. 빌헬름 4세 폰 바이에른 공작 | 2. 알브레히트 4세 폰 바이에른 공작 | 4. 알브레히트 3세 폰 바이에른 공작 | 8. 에른스트 폰 바이에른 공작 | 16. 요한 2세 폰 바이에른 공작 | |||
17. 고리치아의 카타리나 | |||||||
9. 비스콘티의 엘리사베타 | 18. 베르나보 비스콘티 | ||||||
19. 베아트리체 레지나 델라 스칼라 | |||||||
5.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아인베크의 안나 | 10. 에리히 1세 폰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 공작 | 20. 알브레히트 1세 폰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 공작 | |||||
21.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아네스 | |||||||
11. 브라운슈바이크-괴팅겐의 엘리자베트 | 22. 오토 1세 폰 브라운슈바이크-괴팅겐 공작 | ||||||
23. 율리히-베르크의 마르가레테 | |||||||
3. 오스트리아의 쿤디군데 | 6. 프리드리히 3세 | 12. 에른스트 | 24. 레오폴트 3세 | ||||
25. 비스콘티의 비리디스 | |||||||
13. 마조비아의 킴부르기스 | 26. 시에모비트 4세 | ||||||
27. 리투아니아의 알렉산드라 | |||||||
7. 포르투갈의 엘레오노르, 신성 로마 황후 | 14. 포르투갈의 에두아르두 | 28. 포르투갈의 주앙 1세 | |||||
29. 랭커스터의 필리파 | |||||||
15. 아라곤의 엘레오노르 | 30. 아라곤의 페르난도 1세 | ||||||
31. 알부르케르케의 엘레오노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